본문 바로가기
미국 고배당 개별주/BDC

월배당 BDC 중 규모가 가장 큰 메인스트리트 캐피탈(MAIN) 분석

by 나숲 - NASOOP 2024. 12. 8.

월배당 BDC (1) -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티커 : MAIN) 분석

 

간단하고 쉬운 미국 주식 투자를 위한 블로그 : 미국 주식 테마

 

목차

  • BDC란?
  • 월배당 BDC 리스트
  • MAIN 사업 분석
  • MAIN 지표 분석 (실적, 배당, 주가 등)

 


 

 

1. BDC란?

사업 개발 회사(Business Development Company)를 뜻하며 중소기업에 자금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 목적 금융 기업입니다.

 

쉽게 말해, 중소기업에 대출, 지분 투자 등을 통해 자금을 제공해 주고, 그 대가로 높은 수준의 이자와 배당금을 받아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입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립 배경 : 1980년 미국 의회에서 제정된 '1980 Small Business Incentive Act'에 근거해 중소기업과 비상장기업에 투자 및 대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운영 조건 : 전체 대출 자산의 70% 이상을 미국의 비상장 기업 또는 시가총액 2.5억 달러 미만의 상장 기업에 투자해야 합니다.

 

특징 :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주주들에게 분배하면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습니다.

 

따라서 BDC는 일반적으로 연간 10% 내외의 고배당을 지급하며 은퇴를 준비하는 투자자 혹은 은퇴 이후 노후 생활을 하는 투자자에게 많은 선택을 받고 있는 자산입니다. 

 

이렇게 BDC가 고배당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출 금리가 매우 높은 편이고,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2. 월배당 BDC 리스트

  1.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MAIN)
  2. 페넌트파크 인베스트먼트 코퍼레이션 (PNNT)
  3. 페넌트파크 플로팅 레이트 캐피탈 (PFLT)
  4. 호라이즌 테크놀로지 파이낸스 (HRZN)
  5. 스텔러스 캐피탈 인베스트먼트 코퍼레이션 (SCM)
  6. 프로스펙트 캐피탈 코퍼레이션 (PSEC)
  7. 옥스포드 스퀘어 캐피탈 (OXSQ)
  8. 글래드스톤 인베스트먼트 (GAIN)
  9. 글래드스톤 캐피탈 (GLAD)

현재 미국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BDC 중 월배당을 지급하는 종목은 총 9개이며 그중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이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3.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사업 분석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은 2007년에 설립 및 상장되었으며 총 8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고, 63억 달러는 회사 내부적으로 관리하며 나머지 17억 달러는 외부 투자사를 통해 운용되고 있습니다.

 

보통 다른 BDC들의 경우 대부분 외부 투자사를 통해 자산을 운용하지만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경우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자산이 더 많다는 게 큰 특징입니다.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2024년 3분기 기준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투자 포트폴리오는 LMM 50%, Private Loan 38%, Middle Market 4%, Other Portfolio 8%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장 핵심이 되는 LMM과 Private Loan에 대해 순서대로 알아보면,

 

 

LMM 포트폴리오 (전체의 50%)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LMM은 Lower Middle Market의 줄임말로 중간 시장 중에서도 하위 시장에 집중한다는 의미입니다.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LMM 포트폴리오에서 목표로 하는 기업은 연간 EBITDA가 3백만 ~ 2천만 달러 사이인 기업인데요. 한화로는 약 42억~280억원 정도의 연간 이익 창출 능력이 있는 기업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EBITDA :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상각비 차감 전의 이익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이러한 LMM 포트폴리오는 총 84개의 회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72%는 대출(부채) 투자, 28%는 지분 투자입니다.

 

대출 투자에서는 선순위 담보대출이 99%로 우선 변제권과 담보가 제공되는 자산에 거의 100%를 투자하는 만큼 안정성이 높은 구성을 이루고 있고, 해당 대출 투자의 74%가 고정 금리로 이자를 받고 있습니다.

 

지분 투자에서는 평균적으로 회사당 39%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주당 순자산가치 상승의 기반이 된다고 하네요. 

 

이제 다음으로 Private Loa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rivate Loan 포트폴리오 (전체의 38%)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Private Loan 포트폴리오에서 목표로 하는 기업은 연간 EBITDA가 7.5백만 ~ 5천만 달러 사이인 기업으로 한화로는 약 105억~700억원 정도의 연간 이익 창출 능력이 있는 기업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Private Loan 포트폴리오는 92개의 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순위 담보대출이 96%로 이루어져 있고, 95%가 변동 금리로 이자를 받고 있습니다. 

 

Private Loan은 보통 사모 대출이라고 불리며 해당 포트폴리오에서는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이 직접 투자를 하기도 하지만 사모펀드, 자산운용사 등 외부 투자사를 통해 투자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의 50%를 차지하는 LMM과 38%를 차지하는 Private Loa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MAIN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 산업별 비중 및 지역별 비중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이제 다시 돌아와서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의 산업별 비중을 보면, 

 

투자하고 있는 기업들이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상업용 서비스, 유통, 전기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 분산되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비중 쏠림도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네요.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그리고 지역적으로도 특정 지역에 큰 쏠림없이 잘 분산되어 있습니다.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사업 정리

  • 63억 달러 규모 자산 내부 운용 / 17억 달러 규모 자산 외부 운용
  • 투자 포트폴리오는 LMM 50%, Private Loan 38%, 나머지 12%로 이루어짐
  • LMM 대출 투자 + Private Loan의 변동 금리 비중은 61.35%, 고정 금리 비중은 38.65%
  • 투자별, 산업별, 지역별 분산은 잘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됨

그럼 이제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각종 지표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지표 분석

 

실적 (주당 순이익, 매출)

자료 : investing.com

 

가장 먼저 실적을 보겠습니다. 위 자료를 보시면, EPS와 매출(Revenue)이 나와있는데요.

 

여기서 EPS는 주당 순이익이지만 BDC의 경우 주당 NII가 EPS와 똑같은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NII : 주당 순투자이익

 

위 자료를 가장 왼쪽의 날짜와 함께 보시면 최근으로 올수록 매출이 증가하고 있고, EPS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걸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당 순자산 가치

자료 : 2024년 3분기 MAIN Investor Presentation

 

다음으로 BDC 에게는 특히 중요한 주당 순자산 가치를 보면,

(*주당 순자산 가치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치와 이어지는 수치이기 때문에 BDC 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2023년 3분기 28.33 달러에서 29.2 달러, 29.54 달러, 29.8 달러를 거쳐 2024년 3분기에는 30.57 달러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꾸준히 상승하였기 때문이겠죠.

 

 

배당 관련 내용

자료 : seekingalpha.com

 

이번에는 MAIN의 배당 관련 내용을 보겠습니다.

 

우선 상장 이후 배당 지급 내역을 보면,

 

실적 지표들과 마찬가지로 우상향 추세에 있습니다. 

 

2024년까지는 매달 0.245 달러를 정기적으로 지급하였으며 분기 말마다 0.3 달러를 특별 배당금으로 추가 지급하였고,

 

2025년 1~3월까지는 매달 0.25 달러를 정기적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아마 이후의 정기 배당금과 특별 배당금은 내년에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료 : seekingalpha.com

 

참고로 정기 배당금 기준 현재 연간 배당률은 5.43%, 올해 특별 배당금을 포함하면 7.6%이며 배당금은 매달 초를 기준으로 하여 매달 중순에 지급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및 과거 성과

자료 : google.com/finance (MAIN 상장 이후 주가 차트)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현재 주가는 55.29 달러로 한화 약 7만 7천원이며 상장 이후 268.60%의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부터는 배당금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최근 10년 총수익률 (배당 재투자 포함) : 연평균 15.24%

최대 낙폭 : -51.67%

 

과거 10년 동안의 성과에서는 S&P 500에 비해 연평균 1.8%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최대 낙폭은 -51.67%로 코로나 당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이렇게 이번 글에서는 월배당 BDC 중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메인스트리트 캐피탈 (티커 : MAI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메인스트리트 캐피탈의 경우 현재 실적과 과거 성과 모두 뛰어난 종목으로 그만큼 다른 종목에 비해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고, 배당률도 주가가 많이 상승함에 따라 낮아진 편입니다. 그렇기에 현재 주가 수준에서는 앞으로도 든든한 월배당주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엄청나게 매력적인 자산이라고 보긴 힘들기 때문에 다양한 월배당 BDC를 함께 고려해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다음에는 더욱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주의 : 해당 글은 개인적인 의견을 담은 글로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절대 투자 추천 혹은 투자 권유가 아님을 밝히고,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