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률 35% ETF AIPI의 구성 종목 분석
간단하고 쉬운 미국 주식 투자를 위한 블로그 : 미국 주식 테마
목차
- AIPI 기본 설명 (영상)
- AIPI 구성 종목 분석
- AIPI 과거 수익률 비교
1. AIPI 기본 설명 (영상)
2. AIPI 구성 종목 분석
(2025년 1월 31일 기준 - 주식 포지션 비중)
비중 1위(10.55%) : 팔란티어(PLTR)
팔란티어는 2003년 설립된 미국의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플랫폼 운영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팔란티어의 AI 기술이 특히 주목받고 있죠.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굉장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PER 기준 100배가 넘는 상황이기에 현재 팔란티어는 밸류에이션적인 측면보다는 미래 기대감에 대한 부분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확실히 AI 기술에 대해서는 팔란티어를 따라갈 기업이 없다고 평가되고 있죠.
(일반 기업에 대한 계약 외에 정부 관련 계약도 다수 체결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또한 지난 2월 3일 장 마감 이후 있었던 실적 발표에서도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주가가 22.75% 급등하고 있습니다.
비중 2위(10.19%) :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AIPI 구성 종목 비중 2위에 위치한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2011년 설립된 미국의 사이버 보안 기업입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작년에 있었던 글로벌 전산마비 사태의 중심이었던 회사이기도 합니다.
당시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지만 고객 이탈 등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아 현재는 다시 회복한 상황입니다.
CRWD는 팔로알토 네트웍스(PANW) 등과 함께 사이버 보안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평가되며 밸류에이션은 굉장히 높은 종목 중 하나입니다.
비중 3위(9.34%) : ARM 홀딩스(ARM)
ARM은 1990년 설립된 영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입니다.
ARM은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자산(설계도,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설계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진 기업입니다.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 애플, 퀄컴 등이며 전 세계 스마트폰의 95% 이상이 ARM이 설계한 반도체 IP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ARM도 팔란티어,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 동일하게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으며 향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큰 종목입니다.
비중 4위(8.49%) : 엔비디아(NVDA)
엔비디아는 모두들 아시다시피 미국의 1위 반도체 기업입니다.
그래픽카드(GPU)를 설계하며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물량을 납품하면서 굉장히 큰 실적 성장을 이뤄내고 있죠.
그리고 GPU를 최대로 활용하여 개발을 돕는 소프트웨어인 쿠다(CUDA)를 제공하며 쿠다는 엔비디아 GPU 상에서만 활용할 수 있어 일종의 생태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딥시크가 시장에서 주목받으면서 엔비디아의 GPU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엔비디아의 주가가 꽤나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만약 실적 예상치대로 쭉 흘러간다면 현재 밸류에이션은 꽤나 매력적인 구간으로 보입니다.
비중 5위(3.52%) :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머신(IBM)
IBM은 1911년 설립된 미국의 테크 기업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하고 컨설팅 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IBM은 현재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되는 기술 회사로 실적 성장성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AI, 클라우드 기술 등이 주목받으면서 최근 주가 흐름은 좋은 편입니다.
비중 6위~25위
순서, 비중, 티커, 향후 12개월 예상 PER, 주요 사업
(SW : 소프트웨어 / HW : 하드웨어)
6 | 3.49% | META | 27.61 | SNS 플랫폼 |
7 | 3.36% | QCOM | 15.15 | 반도체(AP) 설계 |
8 | 3.26% | GOOGL | 23.31 | 각종 플랫폼 |
9 | 3.26% | SNPS | 34.92 | 반도체 설계 SW |
10 | 3.25% | AMZN | 40.36 | 이커머스, 클라우드 |
11 | 3.16% | CSCO | 16.52 | 네트워킹 HW/SW |
12 | 3.14% | CRM | 31.44 | 고객관리 SW |
13 | 3.11% | MU | 11.61 | 메모리 반도체 |
14 | 3.11% | ADBE | 21.46 | 디자인/그래픽 SW |
15 | 3.08% | PANW | 56.36 | 사이버 보안 |
16 | 3.07% | ANET | 47.08 | 네트워킹 HW/SW |
17 | 3.02% | DDOG | 76.80 | 클라우드 관련 SW |
18 | 3.00% | MSFT | 29.77 | 각종 SW |
19 | 2.97% | AAPL | 30.25 | 각종 HW 및 SW |
20 | 2.92% | CDNS | 44.11 | 반도체 설계 SW |
21 | 2.92% | AVGO | 34.29 | 맞춤형 반도체 설계 |
22 | 2.90% | INTC | 39.28 | CPU 설계 및 파운드리 |
23 | 2.90% | NOW | 62.42 | 기업 및 고객 관리 SW |
24 | 2.84% | AMD | 25.79 | CPU, GPU 설계 |
25 | 2.62% | SMCI | 9.67 | 서버, 스토리지 |
전체적으로 AIPI의 구성 종목을 살펴보면 엔비디아, 마이크론 등과 같은 하드웨어 기업 외에도 알파벳, 세일즈포스, 어도비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중 1위, 2위 기업을 보더라도 팔란티어와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포함되어 있죠.
따라서 AIPI는 AI 관련 주식에 폭넓게 투자하면서 월배당을 지급받길 원하시는 분들께 적합한 ETF라고 생각됩니다.
3. AIPI 과거 수익률 비교
최근 6개월 총수익률 (배당 재투자 가정)
AIPI : 26.09%
S&P 500 ETF VOO : 16.41%
나스닥 100 ETF QQQ : 19.36%
반도체 ETF SMH : 12.44%
이렇게 오늘은 배당률이 35%에 달하는 월배당 ETF인 AIPI의 구성 종목을 위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AIPI는 AI 관련 주식에 집중 투자하면서 뛰어난 성과를 기록하고 있고 매달 높은 배당금을 거의 일정하게 수령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투자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AIPI는 렉스셰어즈 라는 회사에서 운용하는 종목인데 같은 월배당 ETF로는 AIPI 외에도 FEPI, CEPI가 존재합니다. 이 부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에는 더욱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주의 : 해당 글은 개인적인 의견을 담은 글로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절대 투자 추천 혹은 투자 권유가 아님을 밝히고,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